아래와 같이 톰캣 로그가 과도하게 쌓이는 문제를 방지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1. '[톰캣 경로]/bin'로 이동한 다음 콘솔창에서 'vi catalina.sh'를 입력합니다.
※ 필자 위치는 '/usr/local/tomcat/apache-tomcat-9.0.58/bin' 입니다.
2. 콘솔창에서 '/"$CATALINA_OUT_CMD"'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.
※ vi 내에서 ' /내용'을 입력하고 엔터를 입력하면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
3. 도착한 라인을 포함하여 아래로 14라인 전체를 주석처리합니다.
4. 주석한 라인부터 15번 아랫 라인과 25번 아랫 라인의 내용을 '2>&1 "&" | /usr/sbin/rotatelogs "$CATALINA_OUT"-%Y-%m-%d.log 86400 540 &'으로 변경한 후 ':wq'를 입력하여 저장합니다.
※ ' 2>&1 "&" | /usr/sbin/rotatelogs "$CATALINA_OUT"-%Y-%m-%d.log 86400 540 &' 구문에서 86400은 초 단위 값이며, 24시간 주기로 한번씩 로그파일이 새로 생성되게 설정하고 540은 자정 12시에 저장할 경우 GMT 기준 시간이므로 한국시간으로 환산하면 9시간(60*9초)를 추가하는 구문입니다.
※ ':wq' 구문은 vi에서 입력한 내용 저장 후 나가는 구문입니다.
5. 톰캣 재기동을 위해 './shutdown.sh' 후 './startup.sh'를 실행합니다.
6. '[톰캣 경로]/logs'로 이동하여 날짜별로 정상적으로 로그가 쌓인다면, 날짜별 로그 설정 완료입니다.
※ 필자 위치는 '/usr/local/tomcat/apache-tomcat-9.0.58/logs ' 입니다.
여기까지 리눅스 톰캣 날짜별 로그 설정 방법에 대해서 작성해봤습니다.
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(NCLOUD) 관리자(root) 비밀번호 확인 방법 (0) | 2024.06.18 |
---|---|
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(NCLOUD) 공인 IP(Public IP) 설정 방법 (0) | 2024.06.17 |
리눅스(CentOS 7) 톰캣(Tomcat 9) 로그 파일 초기화 방법 (1) | 2024.06.14 |
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(NCLOUD) 서버 생성 방법 (0) | 2024.06.05 |
리눅스(CentOS 7) Apache(2.4.6) SSL 교체 방법 (0) | 2024.06.05 |